워드프레스는 단순한 개인 블로그부터 다수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대규모 커뮤니티 사이트까지 지원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확장성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능이 바로 사용자 권한(Role)과 Capability 구조입니다. 워드프레스는 기본적으로 여러 종류의 사용자 역할을 제공하고, 각 역할은 세부적인 권한(capabilities)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이를 이해하면 운영자는 사이트 보안을 강화하고, 팀 협업 환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.
1. 사용자 역할(Role)이란?
사용자 역할은 사이트에서 특정 사용자가 가질 수 있는 권한의 집합을 의미합니다. 즉, 역할은 “이 계정은 무엇을 할 수 있고, 무엇은 할 수 없는가”를 정의합니다. 워드프레스는 설치 시 기본적으로 5가지의 역할을 제공합니다.
– 관리자(Administrator) : 사이트의 모든 권한을 가집니다. 테마와 플러그인 설치, 사용자 관리, 콘텐츠 수정까지 제한이 없습니다.
– 편집자(Editor) : 모든 글과 페이지를 작성, 수정, 삭제할 수 있습니다. 다른 사용자가 작성한 글도 관리할 수 있습니다.
– 작성자(Author) : 자신이 작성한 글만 발행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. 다른 사람의 글은 수정할 수 없습니다.
– 기고자(Contributor) : 글을 작성할 수 있으나 발행 권한은 없습니다. 관리자가 검토 후 발행해야 합니다.
– 구독자(Subscriber) : 로그인하여 댓글을 작성하거나, 개인 프로필을 수정하는 정도만 할 수 있습니다.
이 다섯 가지 역할은 사이트 운영의 규모와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습니다.
2. Capability(세부 권한)의 개념
Capability는 각 역할을 구성하는 세부적인 권한을 의미합니다. 예를 들어 글을 발행할 수 있는 권한은 publish_posts, 페이지를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은 delete_pages로 정의됩니다.
워드프레스에는 수십 가지의 Capability가 존재하며, 운영자는 이를 조합하여 새로운 역할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.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글을 작성할 수는 있지만 발행하지 못하게 하려면 edit_posts 권한만 주고, publish_posts는 제거하면 됩니다.
즉, Capability는 역할(Role)의 가장 작은 단위이며, 운영자는 이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사이트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.
3. 기본 권한 구조의 실제 예시
워드프레스의 기본 권한 체계는 다음과 같이 작동합니다.
– 관리자 : 모든 Capability 보유 (install_plugins, switch_themes, manage_options 등)
– 편집자 : 글/페이지 작성, 발행, 삭제 가능. 하지만 테마/플러그인 관리 불가
– 작성자 : 자신의 글 작성 및 발행 가능. 다른 사용자 글에는 접근 불가
– 기고자 : 글 작성 가능, 발행 불가. 관리자 승인 필요
– 구독자 : 읽기(read) 권한만 보유
이렇게 역할과 권한을 계층적으로 나누어, 불필요한 권한 남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.
4. 사용자 권한 관리의 필요성
사이트 규모가 커질수록 권한 관리의 중요성은 더 커집니다. 예를 들어 여러 명의 필자가 참여하는 매거진 사이트에서는 작성자와 편집자를 구분해야 하며, 쇼핑몰 사이트에서는 고객 계정과 관리자 계정을 분리해야 합니다.
만약 모든 사용자에게 과도한 권한을 부여하면 보안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작성자가 플러그인을 설치하거나, 구독자가 관리자 메뉴에 접근할 수 있다면 사이트는 심각한 위험에 노출됩니다. 따라서 역할과 Capability를 올바르게 설정하는 것은 운영 안정성의 핵심입니다.
5. 사용자 권한 커스터마이징
워드프레스는 기본 제공 역할 외에도 새로운 역할을 생성하거나 기존 역할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. 이를 위해 add_role(), remove_role(), add_cap(), remove_cap() 같은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 “리뷰어(Reviewer)”라는 역할을 만들어 글은 수정할 수 있지만 발행하지는 못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. 또한 WooCommerce 같은 전자상거래 플러그인은 자체적으로 “고객(Customer)”, “상점 관리자(Shop Manager)” 같은 역할을 추가하기도 합니다.
관리자는 사이트 목적에 맞게 권한을 조정하여 보안을 강화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
6. 권한 관리 플러그인
직접 코드를 작성하지 않아도,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손쉽게 권한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. 대표적인 플러그인은 다음과 같습니다.
– User Role Editor :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역할과 Capability를 수정할 수 있는 강력한 툴
– Members : 역할 추가/삭제, 권한 부여, 접근 제한 기능 제공
– Advanced Access Manager : 페이지 단위로 접근 권한을 세밀하게 설정 가능
이들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비개발자도 쉽게 사용자 권한을 설정하고, 사이트 보안을 체계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.
7. 권한 구조 이해의 장점
사용자 권한(Role)과 Capability 구조를 이해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.
– 보안 강화 : 최소 권한 원칙(Principle of Least Privilege)을 적용해 보안 사고를 줄일 수 있습니다.
– 운영 효율화 : 팀별로 역할을 나누어 불필요한 업무 혼선을 방지합니다.
– 확장성 : 커스텀 역할을 만들어 쇼핑몰, 교육 사이트, 포털 등 다양한 목적에 맞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.
– 투명성 : 각 사용자가 어떤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명확히 알 수 있어 관리가 쉬워집니다.
따라서 권한 구조는 단순한 기능이 아니라, 사이트의 장기적 안정성을 보장하는 기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마무리
워드프레스 사용자 권한(Role)과 Capability 구조는 사이트 운영의 기본이자 핵심입니다. 역할은 권한의 집합이고, Capability는 가장 작은 단위의 행동을 정의합니다. 이를 잘 활용하면 보안은 강화되고, 운영은 효율적으로 관리됩니다.
특히 팀 단위 사이트나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는 사용자 권한 관리가 필수적입니다. 단순히 글을 작성하는 블로그 운영자도 역할과 권한을 이해하면, 향후 규모 확장 시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합니다.
다음 글에서는 이 권한 구조와 함께 이해해야 할 커스텀 포스트 타입과 커스텀 택소노미 구조를 다루어, 콘텐츠를 다양하게 확장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.









